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5. 3. 06:46
외모가 경쟁력인 시대, 예쁜 얼굴과 매력적인 몸매가 환영받는 시대이다.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눈호강을 시켜 주는 존잘러들이 잘 나가가고 있다. 그렇다면 그 예쁜 얼굴만큼이나 미인들은 행복한 걸까? 그리고 그렇게 잘생긴 만큼 인생도 잘 풀려 나아가는 걸까? ‘외모의 위력’ 하면 우선 떠올리게 되는 것이 연예인들이다. 송승헌이나 정우성 현빈을 보고 있노라면 도대체 전생에 나라를 몇 번이나 구하면 그런 얼굴로 태어날 수 있을까 궁금해진다. 오래전부터 아름다운 배우로 유명했던 김태희, 김희선은 결혼한 후에도 한껏 물오른 미모를 보여주고 있고, 요새 인기 많은 나나, 쯔위, 리사 소베라노 같은 미인들의 외모 역시 대중들의 감탄사를 연발하게 하는 매력을 발산한다. 하지만 예쁜 외모가..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4. 21. 00:02
우리는 타인의 호의에 대한 반응으로 감사한다. 하지만 감사의 고수들은 미리미리 감사하여 삶에 더 많은 감사를 창조해낸다. 세상에 불만이 많은 사람들은 감사할 것을 단 한 가지도 찾아내지 못하지만, 감사의 고수들은 평범한 일상은 물론 불행한 과거에서도 감사의 제목을 찾아낸다. 감사는 있는 사실을 발견해 내는 관찰의 영역이 아니라, 동일한 현실을 놓고 긍정적 감정으로 읽어내는 해석의 문제이며 재창조의 문제이다. 감사는 행복한 삶의 초대장이며, 평화로운 인간관계의 보장이며, 건강한 삶의 보증수표이다. 감사는 우리 인생에 어떤 유익을 가져오는 걸까? 심리학자들과 뇌신경학자들, 경제학자들은 ‘감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오늘 이 시간은 감사가 우리 삶에 가져오는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유익에 ..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4. 16. 05:58
행복과 수명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행복은 수명연장에 실제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그것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사실 행복과 장수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행복하지 않은 장수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오래 사는 것이 의미가 있으려면, 먼저 행복한 삶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불행한 사람이 오래 산다는 것은 고통의 연장이라는 의미에서 꼭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래 산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역사상 가장 많은 부귀영화를 누렸던 중국의 진시황제도 현대인보다 못한 것이 있었다. 그가 그렇게도 가지려 했던 것이 불로장생의 묘약이었던 것을 보면 짧은 인생으로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시황제의 수명은 고작 49세였다. 오늘날 한국인의 ..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4. 13. 07:32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는 어디일까? 그 나라 국민들이 행복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우리나라 국민들의 행복순위는 몇 위나 될까? 경제력과 행복도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예전에만 해도 국가 순위를 재는 척도는 GNP와 GDP가 대세였다. 국가의 경제력과 군사력이 한 나라의 위상을 말해주었다. 그러나 수 차례의 경제위기를 겪은 후 극심한 빈부격차와 격변하는 시대변화를 경험한 현대인들은 국가와 사회를 평가하는 시각이 예전과는 다른 특징을 갖게 되었다. 이제는 미국을 아메리칸 드림의 이상향으로 보는 사람도 없고, 일본을 질서 있는 깨끗한 나라로 존경하지도 않으며, 중국을 투자와 기회의 땅으로 보지도 않는다. 국가들의 서열을 정하는 데도 삶의 질과 국민의 행복 체감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시각이 새롭게 등장했..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4. 12. 07:46
감기나 코로나처럼 행복도 전염이 될까? 꼭 유치원 꼬마나 할 만한 이 질문의 답은? ‘그렇다’이다. 행복도 감기처럼 다른 사람에게 전파된다. 어떻게 보면 뚱딴지같은 이 질문은 사실이다. 꼭 드라마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들에게 옮아가듯 행복 바이러스도 도미노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옮아가 지역 사회 전체를 행복감으로 물들일 수 있다. 지금까지 행복감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의 영역의 문제라고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 행복은 주변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 공동체적 현상이란 점을 알게 됐다. 행복은 나 하나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행복은 공유하는 것이다. 내가 행복함으로 이웃과 친구가 행복할 수 있고, 우리 지역이 행복함으로 국가 전체의 행복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젠 학교..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4. 11. 16:05
행복을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행복방정식은 존재할까? 마치 예술가들이 1.618이라는 황금비율을 찾고, 미스유니버스 대회 심사위원들이 고전 미인의 몸을 36:24:36이라는 비율로 정의하듯 간단명료하게 행복을 나타낼 공식이 있을까? 행복 과학자들은 오랜 시간 행복에 대해 연구한 결과, 행복은 행복한 감정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맨날 날씨가 좋아 해만 줄창 뜨면 땅이 사막화 되듯이 100퍼센트 긍정적인 날만 계속되면 오히려 행복을 행복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때도 이 원리는 적용된다. 물론 가장 재미있는 경기는 내가 응원하는 팀이 이기는 경기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큰 점수 차로 이기는 경기는 재미가 없다. 과연 당신은 몇 대 몇으로 이길 때 가장..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3. 29. 07:05
심심하고 무료하거든, 주말에 한강 자전거도로에 한번 나가보라. 시원한 강바람을 가르며 앞서거니 뒤서거니 달려가는 MTB와 로드형 자전거의 끝없는 행렬에 놀라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자전거도로가 전국적으로 펼쳐져 있다. 국토종주길을 따라 달리다보면 아름다운 숲과 유원지, 댐과 나들목들을 지난다. 자전거는 자연 친화적이고 이웃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세계에서 가장 인간다운 도시는 자전거 도로가 가장 잘 갖춰진 도시라고 한다. 그만큼 자전거는 행복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민들이 살고 있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은 자전거의 도시로 유명하다. 오늘은 코펜하겐의 자전거 통계를 살펴보고, 자전거가 주는 행복감과 건강의 유익함에 대해 이야기를 나..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3. 28. 06:39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한 백 년 살고 싶어~’ 남진의 영원한 히트곡 〈저 푸른 초원 위에〉의 한대목이다. 이 노래가 세상에 발표된 것은 1970년으로 무려 50년이 지나도록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보면, 이 가사 내용처럼 행복을 원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누구나 한마음인 듯싶다. 봄에 씨앗 뿌리고 여름에는 꽃이 피고, 밤에는 보름달, 반디불과 즐겁게 지내는 삶. 그 모두가 도시 근교의 전원주택에서 사랑하는 님과 오붓하게 알콩달콩 깨알 볶고 사는 달콤한 삶에 대한 꿈과 기대를 갖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잊은 것이 있다. 전원주택에서 살아가려면 최소한 자가용이나 버스를 타고 1시간 이상 매일 출퇴근 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그래도 개인이 느끼는 행복감에는 전혀 영향이 없을..
행복연구 culturehunter 2021. 3. 21. 14:08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올 때 골목마다 위치한 고깃집의 고기 굽는 모양을 보고 잠시 자리에 멈춘 적이 있었는가? 지글지글 타오르는 고기의 모습이 꽤나 먹음직스러웠을 것이다. 동네 제과점 유리창 안으로 보이는 빵과 쿠키도 시선을 사로 잡기는 마찬가지다. 달콤한 브라우니와 고소한 오곡식빵에 향긋한 마늘빵 냄새 풍기는 그 전경에 먹지 않아도 배부름을 느끼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모닥불과 음식, 행복한 저녁 시간의 상징 마이크 비킹은 행복연구가이다. 그의 주된 연구 주제는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알려진 덴마크인들의 행복 조건이다. 그는 최근에 『리케』라는 책을 썼는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그 행복의 비밀을 인터뷰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모닥불과 음식이 주는 행복의 마술에 대해서 적고 ..